신소재공학과
홈페이지학과소개
신소재공학은 산업의 기본 소재인 금속 및 세라믹스 재료의 성질, 구조, 제조 및 응용기술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신소재공학과에서는 소재의 구조와 조성 등을 제어하여 그 특성과 성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기존에 구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기능을 갖는 소재, 부품 및 디바이스를 개발하기 위한 폭넓고 깊이 있는 학문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학과 인재상
- 전문 기술인 : 신소재공학의 전문지식 및 설계기법을 이용하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 력을 갖춘 전문기술인의 능력을 갖도록 한다.
- 창조적 인재 : 창의력을 발휘하여 신소재 공학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 글로벌 인재 : 국제적으로 협동하여 팀의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가 되도록 한다.
- 직업윤리 : 소재 및 관련 산업 현장에서 직업윤리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가 되도록 한다.
교육 목표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의 교육목표는 신소재공학의 기본지식을 폭 넓게 학습시키고, 산업체에서 적용 가능한 기초 응용력을 갖춘「신소재공학의 전문지식 및 설계기법을 이용하여 산업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 창의력을 발휘하여 신소재공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조적 인재, 국제적으로 협동하여 팀의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해 낼 수 있는 글로벌 인재로서 소재 및 관련 산업 현장에서 직업윤리를 실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함」에 있다.
졸업 후 진로
최근 3년간의 졸업생 통계에 따르면 전체 취업자중 대기업 취업이 약 84%, 대학원 진학이 약 20%에 이르며, 이 외에 정부기관, 국책연구소, 중소기업, 벤처기업 등에 취업하거나 외국 유학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한 주요 대기업은 삼성그룹(삼성전자,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등), LG그룹(LG디스플레이, LG화학, LG전자, LG이노텍, LG하우시스 등), SK그룹(SK에너지, SK하이닉스반도체 등), 포스코, 현대제철, 동부제철, 현대하이스코, 현대자동차, GM대우, KCC, 효성 등이다.
- 전화 : 032-860-7520,7530
- Fax : 032-862-5546
- 위치 : 5북 135호
- 콘텐츠 담당자
- 공과대학 행정실
- T : 032-860-7290
- 수정일 :